2025년 아이 돌봄 서비스가 달라집니다! 소득 구간이 5단계로 세분화되고, 시간당 기본 요금이 12,180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. 청소년 부모 및 조손 가정 추가 할인, 이른둥이(미숙아) 지원 확대 등 새로운 혜택도 적용됩니다. 맞벌이, 한부모, 다자녀 가정을 위한 정부 지원과 신청 방법을 확인하고 육아 부담을 줄이세요!
👶 아이 돌봄 서비스란? (2025년 기준)
아이 돌봄 서비스는 맞벌이, 한부모, 다자녀 가정 등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을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돌봄 서비스입니다.
2025년부터 소득 기준이 세분화되고, 이용 요금이 일부 조정되며, 특정 가정에 대한 추가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.
✅ 주요 변경점
✔ 소득 구간 세분화 (기존 4단계 → 2025년 5단계)
✔ 시간당 기본 요금 인상 (전년 대비 550원 증가, 12,180원)
✔ 휴일 및 야간(22시~06시) 이용 요금 50% 추가 가산
✔ 이른둥이(미숙아) 추가 지원 확대
✔ 청소년 부모 및 조손 가정 추가 할인 적용
📌 2025년 아이 돌봄 서비스 이용 요금 및 정부 지원 비율
2025년부터는 소득 유형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다르게 적용되며, 지원 비율이 세분화되었습니다.
소득 기준 (중위소득 대비) | 정부 지원 비율 | 본인 부담 비율 | 시간당 요금 (2025년 기준) |
---|---|---|---|
75% 이하 (가형) | 85% 지원 | 15% 부담 | 1,826원 |
75%~120% (나형) | 60% 지원 | 40% 부담 | 4,872원 |
120%~150% (다형) | 30% 지원 | 70% 부담 | 8,526원 |
150%~200% (라형) | 15% 지원 | 85% 부담 | 10,352원 |
200% 초과 (마형) | 지원 없음 | 100% 부담 | 12,180원 |
💡 추가 혜택
✔ 청소년 부모, 한부모, 조손 가정, 장애 부모 가정: 추가 5% 지원
✔ 청소년 부모(세 자녀 이상, 중위소득 200% 이하): 최대 90% 지원
📌 2025년 중위소득 기준표
2025년부터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대비 몇 %인지에 따라 지원율이 결정됩니다.
가구원 수 | 중위소득 100% (월 소득) | 75% 이하 (가형) | 120% 이하 (나형) | 150% 이하 (다형) | 200% 이하 (라형) | 200% 초과 (마형)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인 가구 | 2,439,000원 | 1,829,000원 | 2,926,000원 | 3,658,000원 | 4,878,000원 | 지원 없음 |
2인 가구 | 4,013,000원 | 3,010,000원 | 4,816,000원 | 6,020,000원 | 8,026,000원 | 지원 없음 |
3인 가구 | 5,174,000원 | 3,880,000원 | 6,208,000원 | 7,761,000원 | 10,348,000원 | 지원 없음 |
4인 가구 | 6,313,000원 | 4,574,000원 | 7,576,000원 | 9,469,000원 | 12,626,000원 | 지원 없음 |
5인 가구 | 7,419,000원 | 5,565,000원 | 8,902,000원 | 11,129,000원 | 14,838,000원 | 지원 없음 |
✅ 중위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지원 비율이 높아집니다!
✅ 4인 가구 기준, 월 소득이 4,574,000원 이하라면 최대 85%까지 지원 가능!
🎯 서비스 유형별 지원 내용 (2025년 기준)
1️⃣ 시간제 아이 돌봄 서비스 (취학 전 & 취학 후)
✔ 대상: 생후 3개월~만 12세 이하
✔ 이용 시간: 연간 최대 960시간
✔ 요금: 12,180원/시간 (소득 유형에 따라 정부 지원 차등 적용)
✔ 이용 방식:
- 일반형: 기본 돌봄 (식사, 안전관리 등)
- 종합형: 기본 돌봄 + 학습 지도, 놀이 활동, 가사 지원 등
✅ 추천 대상
- 부모 출퇴근 시간 동안 아이 돌봄이 필요한 경우
- 어린이집, 유치원 등하원을 돕는 서비스가 필요한 가정
2️⃣ 영아 종일제 서비스 (3개월~36개월 영아)
✔ 대상: 생후 3개월~36개월 영아
✔ 이용 시간: 월 200시간 이내
✔ 요금: 12,180원/시간 (소득 유형에 따라 정부 지원 차등 적용)
✔ 특이 사항: 이른둥이(미숙아)는 추가 4개월 연장 지원 가능
✅ 추천 대상
- 출산 후 육아휴직이 끝나 복직하는 부모
- 보육시설에 보내지 않고 가정 내 돌봄이 필요한 가정
3️⃣ 질병감염 아동 돌봄 서비스
✔ 대상: 법정 전염병(수족구, 독감 등) 감염된 아동
✔ 이용 시간: 최소 2시간 이상
✔ 요금: 13,950원/시간 (소득 유형에 따라 정부 지원 차등 적용)
✔ 특이 사항: 병원 동행 돌봄 가능
✅ 추천 대상
- 아이가 아파서 어린이집, 유치원에 가지 못하는 경우
- 보호자가 출근해야 하는 경우
4️⃣ 긴급 돌봄 서비스
✔ 대상: 갑작스러운 일정 변경으로 즉시 돌봄이 필요한 경우
✔ 이용 시간: 2~4시간 내 즉시 신청 가능
✔ 추가 요금: 건당 3,000원 (긴급 신청 비용)
✔ 특이 사항: 야간 및 공휴일 이용 시 50% 추가 요금 발생
✅ 추천 대상
- 갑작스러운 야근, 출장 등으로 긴급하게 돌봄이 필요한 가정
- 일정이 예측 불가능한 맞벌이 부모
📝 2025년 아이 돌봄 서비스 신청 방법
✅ 1단계: 정부 지원 대상 여부 확인
- 아이돌봄 포털 또는 주민센터에서 확인 가능
✅ 2단계: 서비스 유형 선택
- 정기 돌봄, 긴급 돌봄, 질병 감염 돌봄 중 선택
✅ 3단계: 신청 및 접수
-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
✅ 4단계: 돌보미 연계 및 서비스 이용
✅ 결론: 2025년 아이 돌봄 서비스, 꼭 활용해야 할 이유!
✅ 정부 지원으로 육아 부담 줄이기!
✅ 맞벌이, 한부모, 다자녀 가정이라면 혜택 극대화 가능!
✅ 긴급 상황에서도 믿고 맡길 수 있는 돌봄 서비스 제공!